'경제추격 속도(경제 1위국과 발전수준을 비교한 지수)' 한국 23위… 싱가포르(4위)·홍콩(9위)·대만(18위)에 뒤져 [4] 경제 성장의 현 주소 -한배 탔던 '4龍' 발전 격차 한국, 경제비해 소득상승 더뎌… 일본의 90% 수준 못넘고 정체 대만은 4년전 이미 日 앞질러… 이대론 영원히 日 못 넘을수도 우리 경제가 세계 최고 경제강국인 미국에 접근하는 '경제추격 .. 경제 2014.08.27
통치자는 백성을 믿고 말을 아껴야… 스스로 이루도록 이끌어라 [지상 강의] 老子에게 배운다… 최진석 교수의 삼성 사장단 회의 강연 (下) 자신의 잣대로 판단 말라 리더가 조짐을 읽는 능력이 있으면 정해진 것을 강요하지 않고 자발적 참여 이끌어 낼 수 있어 잔소리를 줄여야 성취와 功은 백성들에게 돌려야 功을 이루게 이끌어 줬으면 리더의 역할.. 경제 2014.08.25
[우먼 동아일보] 재테크 초보가 하기 쉬운 8가지 오해 재테크에 발도 담그기 전부터 지레 겁먹고 시간 낭비에 재테크에 대한 열정까지 식어버린 당신을 위해, 초보자가 하기 쉬운 재테크에 대한 오해를 정리했다. 가계부를 써봤을 것이다. 그리고 좌절도 해봤을 것이다. 좌절의 이유는 ‘영수증 정리하기가 힘들어서, 매일 쓰기가 부담스러워.. 경제 2014.08.21
월급쟁이 부자가 되려면? 가늘고 길게 재테크하라! 돈 쓰기가 참 쉬워진 세상이다. 출근길에 스마트폰으로 학원비와 경조사비를 이체하고, 홈쇼핑으로 몇 억 짜리 땅을 사기도 하며, 사무실에 앉아 마음대로 주식을 사고팔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돈 쓸 곳이 많아지고 쓰기 쉬워질수록 빤한 월급의 직장인들은 심난하기만 하다. 은행에 .. 경제 2014.08.18
호주 퇴직연금 50%는 株式에 장기 투자… 高수익 올려 넉넉한 老後 선진국의 경우 - 호주의 퇴직연금 성공사례 낸 돈의 3배 받는 해링턴 부부 - 근로자 급여의 9%를 회사가 퇴직연금으로 적립, 근로자가 연금상품 개별가입 GDP보다 많은 퇴직연금 자산 - 10년새 2배 이상으로 늘어 호주 證市에 퇴직연금 투자…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에 한몫 .par:after{display:block.. 경제 2014.08.18
연예인 재테크, 성공 비결은? 연인들에게예 재테크는 필수다. 잘나갈 때 바싹 벌어들인 목돈을 바탕으로 부동산이나 주식, 적금과 사업을 통해 성공한 연예인들의 사례를 모았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이들의 성공 요인도 알아본다. /자문 배성민 대신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정성목 유통·외식·프랜차이즈 컨설턴트,.. 경제 2014.08.17
뭘 좀 아는 '선도적 사용자' 그들이 혁신의 주인공 된다 조깅 유모차도 '선도적 사용자' 생각이 만들었다 폰 히펠 MIT 교수 인터뷰 소비자·공급자 경계 허물어져 : 제조사, 선도 사용자 아이디어 찾아내… 그들과 협업할 때 '혁신의 민주화' 이뤄 선도 사용자를 경쟁자로 생각 말라 : 레고, 사용자 아이디어 받아들일 때… 디자이너들 “일자리 .. 경제 2014.08.17
디즈니도 '벌벌'… 美 콘텐츠 시장 '아마존 공포' 월트디즈니가 단가 안 낮추자 신작 영화 DVD 예약판매 중단 출판계서도 힘으로 가격 후려쳐… 美작가 900여명 '反아마존' 운동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제프 베조스는 1994년 자기 집 차고에서 온라인 유통업체를 창업하고 '아마존'이라 이름 붙였다. 브라질 정글을 흐르는 세.. 경제 2014.08.12
독일 배우기에서 주목해야 할 경제용어 ‘구구팔팔(9988)’의 뜻은... "대한민국이 독일을 뛰어넘어야(Beyond Germany) 일본과 중국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독일의 ‘미텔슈탄트(중소기업)’가 한국 중소기업에 역할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독일 배우기’ 열풍의 주역인 김택환(56) 경기대 교수의 말이다. 김 교수는 1983.. 경제 2014.08.05
경영학 석학 장세진 교수가 보는 삼성전자 "삼성전자, 지난 4~5년 이익규모가 오히려 비정상적이었다" 장세진 교수는 명문 싱가포르국립대 경영학 교수이자, 한국과학기술대(KAIST) 경영대 교수다. 그는 2000년대 이후 세계 경영학계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석학이다. 교육부(당시 교육인적자원부)가 2007년 선정한 ‘국가 석학 15인’ 중.. 경제 2014.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