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밥 먹을 땐 입 벌리고 ‘쩝쩝’ 먹어라” 어느 과학자의 조언, 왜?

해암도 2022. 7. 22. 21:51

 

/픽사베이

 

우리는 밥 먹을 때 입을 크게 벌리거나 ‘쩝쩝’ 소리 내는 행동을 피한다. 이런 습관이 있다면 한 번쯤 잔소리를 듣기도 한다. 식사 예절이 없는 사람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같은 요란한 식사법이 맛과 심리적 안정감에 도움을 준다는 한 과학자의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영국 옥스퍼드대 실험심리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21일(현지 시각) 일간지 더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음식을 먹는 동안 입을 크게 벌리고 소란스러운 소리를 내라”고 말했다. 그의 연구팀은 시각·후각·촉각·청각·미각 등 오감이 음식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시끄럽게 먹으라는 스펜스 교수의 조언은 바로 이 연구를 근거로 한 것이다.

 

스펜스 교수는 먼저 입을 크게 벌리고 먹을수록 음식의 풍미가 훨씬 더 잘 느껴진다고 했다. 입을 크게 벌릴수록 음식 냄새가 코 안쪽 후각 세포를 더 많이 자극해, 음식을 더 매력적으로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소리도 식사를 즐겁게 한다. 스펜스 교수는 “아삭하고 바삭한 음식을 떠올려보라. 사과와 감자 칩을 먹을 때 소리가 크면 클수록 더 맛있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음식 먹는 과정에서 손을 적극 사용할 것을 권장하기도 했다. 스펜스 교수는 “사과를 한입 베어 물기 전 매끄럽고 유기적인 껍질의 감촉을 느끼는 것은 첫 한입의 만족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가리츠(스페인 유명 레스토랑)는 고객에게 포크와 나이프를 제공하지 않고 한 시즌을 보낸 적 있다”며 “손으로 식사 후 손가락을 핥는 것은 예절을 중시하는 집단에서는 권장되지 않지만 최고의 감각적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매체는 식사 예절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에게는 혐오스러운 행동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 치킨 프랜차이즈 KFC가 샐러드를 입에 문 사람들이 노래하는 광고를 공개했다가, 고객들의 항의를 받아야했던 일화를 소개했다. 당시 접수된 불편 신고 중 1671건은 ‘광고가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식습관을 주입할 우려가 있다’는 내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