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카디프대 연구팀, 18종류의 암 환자 25만명 관련 연구논문 종합·분석
“암 환자 중 20~25% 아스피린 복용…주로 대장암·유방암·전립선암 환자”
“복용 암 환자, 미복용 환자보다 아무 때나 사망하는 경우가 20% 감소”
“아스피린, ‘암세포의 전이 억제 효과’ 보여주는 연구 결과들도 나와있어”
‘아스피린’(aspirin)은 최초로 합성된 해열?소염진통제이자 혈전 예방약으로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소염진통제다.
그런데 아스피린이 암 사망 위험을 20%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dailymail) 인터넷판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카디프 대학의 피터 엘우드 역학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18종류의 암 환자 25만 명을 대상으로 한 관련 연구논문 18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암 환자는 암 진단 이후 아무 때든 사망하는 경우가 아스피린을 먹지 않는 환자보다 2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전체 암 환자 중 20~25%는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대장암과 유방암, 전립선암 환자들이었다. 하지만 비인두암(nasopharynx cancer), 식도암, 간암, 담낭암, 췌장암, 방광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두경부암, 폐암, 백혈병, 뇌교종(glioma), 흑색종, 위암 등 환자들도 있었다.
아스피린은 내출혈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지만, 이러한 부작용이 나타난 환자는 소수였으며 내출혈에 의한 사망 위험도 일반인에 비해 높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엘우드 박사는 “현재 암에 대한 아스피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여러 건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더 확실한 증거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아스피린이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아스피린이 다른 암 치료법의 대체 수단은 될 수 없다고 그는 강조했다.
엘우드 교수는 지난 50년 동안 아스피린의 효과를 집중적으로 연구해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 종양학 연구소(European Institute of Oncology)의 온라인 암 전문지 ’이 캔서 메디컬 사이언스‘(eCancermedicalscience)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세계일보 입력 2021.07.03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늙는 속도, 왜 사람마다 다를까"…'노화 시계'의 비밀 밝혀졌다 (0) | 2021.07.13 |
---|---|
하루 1만보 걸어야 건강해진다? - "7500보가 정점…더 건강해지지 않는다" (0) | 2021.07.09 |
난공불락 ‘췌장암’도 자가진단법 있답니다 (0) | 2021.07.02 |
스마트폰 옆에 두면 밤에 깊게 못 자요 (0) | 2021.07.01 |
“‘간헐적 단식’이 왜 건강·장수에 좋지?”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