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다 자란 동물에서 유전 질환을 일으키는 '불량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질병의 근본 원인인 유전자를 새로 교체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평가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 연구단장(서울대 화학부 교수)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 28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성체 생쥐의 근육세포 DNA에서 유전병인 근위축증(근육이 굳어지는 희귀 질환)을 야기하는 염기 한 개를 다른 염기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염기는 DNA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아데닌(A)·구아닌(G)·시토신(C)·티민(T) 네 가지가 있다. 세포는 염기의 조합에 따라 생명체의 모든 활동을 결정하는 단백질을 만든다. 그동안 동물 배아(수정란)나 사람 세포에서 염기를 바꾼 적은 있지만 다 자란 동물에서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생쥐가 가진 28억개의 염기쌍에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아데닌(A) 염기 한 개를 정상인 구아닌(G) 염기로 정확히 바꿨다. 유전자 가위는 특정 유전자 부위를 잘라내는 효소 단백질이다. 근위축증에 걸리면 근육 세포를 보호하는 효소가 몸에서 나오지 않는데, 정상 염기로 교정했더니 쥐 몸에서 이 효소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김 단장은 "파킨슨병·간질 등 염기 하나가 뒤바뀌며 질병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3만가지가 넘는다"며 "기존 배아 단계에서의 염기 교정 기술은 태어날 자녀의 유전병 대물림만 막을 수 있지만 이번 연구로 이미 유전병에 걸린 사람의 치료 가능성도 생겼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 연구단장(서울대 화학부 교수)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 28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성체 생쥐의 근육세포 DNA에서 유전병인 근위축증(근육이 굳어지는 희귀 질환)을 야기하는 염기 한 개를 다른 염기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염기는 DNA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아데닌(A)·구아닌(G)·시토신(C)·티민(T) 네 가지가 있다. 세포는 염기의 조합에 따라 생명체의 모든 활동을 결정하는 단백질을 만든다. 그동안 동물 배아(수정란)나 사람 세포에서 염기를 바꾼 적은 있지만 다 자란 동물에서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생쥐가 가진 28억개의 염기쌍에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아데닌(A) 염기 한 개를 정상인 구아닌(G) 염기로 정확히 바꿨다. 유전자 가위는 특정 유전자 부위를 잘라내는 효소 단백질이다. 근위축증에 걸리면 근육 세포를 보호하는 효소가 몸에서 나오지 않는데, 정상 염기로 교정했더니 쥐 몸에서 이 효소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김 단장은 "파킨슨병·간질 등 염기 하나가 뒤바뀌며 질병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3만가지가 넘는다"며 "기존 배아 단계에서의 염기 교정 기술은 태어날 자녀의 유전병 대물림만 막을 수 있지만 이번 연구로 이미 유전병에 걸린 사람의 치료 가능성도 생겼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최인준 기자
입력 : 2018.04.28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막 개미의 길찾기 비결…알고보니 ‘생체 나침반’ (0) | 2018.05.02 |
---|---|
'뇌' 감시하는 중국 (0) | 2018.05.01 |
크릴의 두 얼굴… 바다 살리는 살림꾼? 병 주는 파괴자? (0) | 2018.04.26 |
플라스틱 쓰레기, 아예 원료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 나왔다 (0) | 2018.04.18 |
매일 하늘에서 바이러스가 쏟아진다 (0) | 2018.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