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코에 뿌리는 코로나 백신, 주사보다 더 강력하다”

해암도 2021. 12. 13. 11:24

 

근육 주사가 아니라 코로 투여하는 코로나 백신이 변이 예방에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인도 바라트사가 개발한 코로나 백신을 코로 투여하는 모습./AFP

 

코로 흡입하는 백신이 근육에 주사하는 백신보다 오미크론과 같은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는 데 더 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대의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의 오지은 교수 연구진은 “동물실험에서 백신을 코로 전달하면 기존 근육 주사보다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해 더 광범위한 면역력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난 10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에 발표했다. 이와사키 교수가 논문의 교신 저자이고 오 교수는 제1저자이다.

 

이와사키 교수는 “가장 좋은 면역 방어는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문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점막은 공기나 식품을 통해 들어오는 병원체를 막아내는 자체 면역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다. 병원체가 감지되면 면역세포인 B세포를 생산해 항체(IgA)를 분비하도록 한다. 이 항체는 백신이 유도하는 항체와 달리 코와 위, 허파의 표면 점막에서만 작동한다.

 

이와사키 교수 연구진은 점막에서 유도되는 IgA 항체가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소화기관에 침입하는 병원체를 막을 뿐 아니라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다.

 

연구진은 쥐에게 코 또는 근육으로 백신을 투여하고 여러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노출시켰다. 실험 결과 코로 백신을 투여한 쥐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더 강한 면역력을 보였다. 코로 투여한 백신은 원래 목표한 바이러스 외에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항체들을 유도했다.

예일대 연구진은 코로 투여하는 백신이 코로나에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사키 교수는 “근육과 코로 투여한 백신은 모두 쥐의 혈액에서 항체 수치를 높였지만, 코로 투여했을 때만 호흡기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허파에서 IgA 항체 분비를 유도했다”며 “코로 투여하는 백신이 인체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면 기존 코로나 백신과 함께 더 광범위한 면역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바라트 테크놀로지는 코로 투여하는 코로나 백신을 개발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코 흡입형 백신이 임상시험에서 코로나 감염 위험을 63% 낮췄다고 밝혔다. 7월에는 중국 군사의학연구원 연구진이 역시 코로 전달하는 코로나 백신이 근육주사형 백신보다 5분의 1 양만으로 비슷한 면역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입력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