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고성능ㆍ초소형 울트라북 전용 SSD 개발…하반기 글로벌 공급
![]() |
삼성전자가 PCIe(PCI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 기반, 차세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를 선보였다. 이 인터페이스는 기존 SSD에 적용된 SATA(사타) 인터페이스 대비, 성능이 훨씬 향상된 제품으로 고성능ㆍ초소형 울트라북에 적합하다. 또, 삼성전자는 새로운 SSD 표준인 NVMe 기반, SSD 제품 개발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대표 권오현)는 기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보다 속도가 2.5배 이상 빠른 새로운 규격의 울트라북용 초고속 SSD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회사측은 2분기부터 `PCIe SSD' 신제품 `XP941 SSD' 시리즈를 양산, 글로벌 노트북 업체들에게 본격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팀장 부사장은 "이번 초고속 PCIe SSD 공급으로 글로벌 고객들이 더욱 빠르고 슬림한 울트라 노트북을 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용량과 성능을 동시에 높인 차세대 SSD 제품을 적기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PCIe SSD란 기존 SSD에 적용된 사타 인터페이스의 성능 한계를 극복한 PCI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 기반의 제품이다. 삼성전자 신제품 SSD는 연속 읽기 속도가 1400MB/s로 500GB 데이터를 6분 이내에 처리할 수 있다. 이는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대비 약 7배, 기존 최고 사양의 SSD보다도 2.5배 이상 높은 성능이다.
또, 부피는 기존 2.5인치 SSD의 7분의 1에 불과하고 무게는 9분의 1인 6g으로 휴대성이 극대화 됐다. 삼성전자는 SSD의 공간 사용이 줄어듦에 따라 보다 큰 용량의 노트북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됐고 무게 역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고성능 10나노급(1나노 10억분의 1미터) 낸드플래시 생산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노트북 시장에서 PCIe SSD 수요 확대를 주도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제품으로 평가받는 NVMe(Non Volatile Memory express, 비휘발성메모리 익스프레스) 표준 기반 SSD 제품도 적기에 출시해 대용량 SSD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3월 삼성전자와 인텔 등 SSD 업체들은 델 등 서버 업체들과 PCIe 슬롯을 활용해 현재 SSD 규격인 사타보다 높은 대역폭을 가지면서 PCIe 슬롯을 활용하는 NVMe 1.0버전을 발표했다. NVMe는 SSD 내부 메모리와 저장한 데이터 처리를 관리하는 CPU간 인터페이스 관련 표준이다. 현재도 기업용 SSD 제품인 PCIe 슬롯을 활용한 SSD 제품이 출시됐지만, 제품 규격은 통일되지 않아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NVMe는 서로 다른 업체간 SSD 규격을 통일화시킨 새로운 규격으로 향후 기업용은 물론 일반 소비자 전용 SSD 시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NVMe 표준이 지향하는 것은 높은 성능이기 때문에 서버 시장에 먼저 적용된 뒤, 향후 모든 SSD에 적용될 것"이라며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SSD 보급은 더욱 급물살을 탈 것"이라고 말했다.
강승태기자 디지털 [2013년 06월 18일]
삼성전자(대표 권오현)는 기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보다 속도가 2.5배 이상 빠른 새로운 규격의 울트라북용 초고속 SSD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회사측은 2분기부터 `PCIe SSD' 신제품 `XP941 SSD' 시리즈를 양산, 글로벌 노트북 업체들에게 본격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팀장 부사장은 "이번 초고속 PCIe SSD 공급으로 글로벌 고객들이 더욱 빠르고 슬림한 울트라 노트북을 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용량과 성능을 동시에 높인 차세대 SSD 제품을 적기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PCIe SSD란 기존 SSD에 적용된 사타 인터페이스의 성능 한계를 극복한 PCI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 기반의 제품이다. 삼성전자 신제품 SSD는 연속 읽기 속도가 1400MB/s로 500GB 데이터를 6분 이내에 처리할 수 있다. 이는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대비 약 7배, 기존 최고 사양의 SSD보다도 2.5배 이상 높은 성능이다.
또, 부피는 기존 2.5인치 SSD의 7분의 1에 불과하고 무게는 9분의 1인 6g으로 휴대성이 극대화 됐다. 삼성전자는 SSD의 공간 사용이 줄어듦에 따라 보다 큰 용량의 노트북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됐고 무게 역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3월 삼성전자와 인텔 등 SSD 업체들은 델 등 서버 업체들과 PCIe 슬롯을 활용해 현재 SSD 규격인 사타보다 높은 대역폭을 가지면서 PCIe 슬롯을 활용하는 NVMe 1.0버전을 발표했다. NVMe는 SSD 내부 메모리와 저장한 데이터 처리를 관리하는 CPU간 인터페이스 관련 표준이다. 현재도 기업용 SSD 제품인 PCIe 슬롯을 활용한 SSD 제품이 출시됐지만, 제품 규격은 통일되지 않아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NVMe는 서로 다른 업체간 SSD 규격을 통일화시킨 새로운 규격으로 향후 기업용은 물론 일반 소비자 전용 SSD 시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NVMe 표준이 지향하는 것은 높은 성능이기 때문에 서버 시장에 먼저 적용된 뒤, 향후 모든 SSD에 적용될 것"이라며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SSD 보급은 더욱 급물살을 탈 것"이라고 말했다.
강승태기자 디지털 [2013년 06월 18일]
'컴퓨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방에서 쓰던 PC, 중고로 사도 될까요? (0) | 2013.07.10 |
---|---|
PC 최적화를 위한 도우미들 (0) | 2013.06.22 |
PC케이스 이제 먼지여~ 안녕. AXIOM PRO 출시 (0) | 2013.05.23 |
'시한부' 윈도XP, 대안은 없는가 (0) | 2013.04.09 |
내 컴퓨터를 조종하는 '좀비'가 있다?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