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전세계가 믿은 '5초 법칙' 배신…"떨어진 음식, 0초만에 세균 범벅"

해암도 2025. 4. 18. 12:42

 

 
'5초 법칙'을 확인하는 실험에서 떨어진 직후의 박테리아 상태(왼쪽)과 떨어진 지 1분이 지난 후의 박테리아 상태./틱톡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5초 안에 주워 먹으면 위생상 안전하다는 이른바 ‘5초 법칙’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음식물이 바닥에 닿는 순간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18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시카고 미생물학자 니콜라스 아이허는 ‘5초 법칙’을 증명하기 위해 물건을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얼마나 많은 박테리아가 생기는지 확인하는 실험 영상을 최근 틱톡에 올렸다.

 

아이허는 0초에서 1분까지 시간을 나눠 실험용 페트리 접시를 바닥에 뒀다.

 

이후 샘플을 배양해 확인한 결과 모든 접시 샘플에서 수백 개의 박테리아 군집이 발견됐다.

 

아이허는 페트리 접시를 보여주며 “0초도 너무 긴 것 같다. 5초든 60초든 끔찍하다”고 했다. 시간에 따른 오염도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의미다.

 

이 영상은 200만회 이상 조회됐고, 온라인상 논쟁을 불렀다.

 

네티즌들은 “다시는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먹지 않겠다”며 실험 결과에 충격받았다는 식의 반응을 보인 한편 일부 네티즌들은 “으음. 어렸을 때부터 5초 룰을 지켰는데 아직 건강하다”라며 실험 결과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반응도 보였다.

 

‘5초 법칙’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세계 각국에서 통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서는 이 법칙이 몽골 제국을 이끈 칭기즈칸에게서 유래했다고 믿는다. 칭기즈칸이 연회에서 바닥에 떨어진 음식도 계속 먹으라고 요구했다는 일화가 있다는 게 이유다.

 

또 1960년대 줄리아 차일드가 진행하는 요리 프로그램에서 차일드가 난로 위에 떨어진 팬케이크를 집어 들고 시청자들에게 “아직 먹어도 괜찮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 법칙을 두고 과학자마다 의견이 엇갈렸다.

 

5초 법칙을 신뢰하는 이들은 박테리아의 이동 속도는 평균 시속 0.00045마일로, 달팽이의 이동 속도의 67분의 1 수준에 불과해 떨어진 음식을 재빨리 집을수록 박테리아에 덜 오염된 음식을 먹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바닥이 습도와 재질에 따라 박테리아 증식 속도가 달라지는 만큼 떨어진 음식을 먹지 않는 게 좋다는 의견이 많다.

 

2016년 미국 럿거스대학교의 식품과학자 도널드 샤프너 교수는 음식이 박테리아로 덮인 표면 위에 오래 있을수록 더 많은 박테리아가 달라붙지만, 음식이 바닥에 닿자마자 이미 충분한 양의 박테리아가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