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구글 엔지니어’ 제프 딘, 본지와 신년 인터뷰
“AI(인공지능) 혁명이 진행 중입니다. AI가 삶의 모든 영역에 적용되는 날이 어느 순간, 갑자기 올 겁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구글 본사에서 최근 만난 제프 딘(Dean·55) 구글리서치·AI 총괄 선임 부사장은 AI의 발전상을 이같이 설명했다. 1999년 구글에 ‘입사 25번’으로 합류한 딘은 구글의 핵심 소프트웨어와 AI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해왔다. 쟁쟁한 개발자들이 즐비한 실리콘밸리에서 ‘전설의 엔지니어’로 불리기까지 한다.
딘은 이날 인터뷰 장소에 청바지와 캐주얼 복장을 한 전형적 실리콘밸리 개발자 모습으로 나타났다. 구글의 손꼽히는 핵심 인재지만 여전히 일반 엔지니어와 동일한 책상에서 일한다. 본지는 신년을 앞두고 진행한 딘과의 인터뷰를 통해 AI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해봤다.

◇“AI, 인간 머릿속 잠금 해제 장치”
최근 우리 사회는 AI의 급속한 발전을 목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등장한 오픈AI의 채팅형 AI ‘챗GPT’는 인간 뺨치는 수준의 답변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에 대해 딘은 “AI가 인간의 언어를 더 잘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을 찾았기 때문”이라며 “AI는 인간의 머릿속에 있는 것들을 풀어주는 잠금 해제 장치가 되고 있다. 다시말해 인간의 능력을 더욱 끄집어내는, 인간의 한계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2016년 구글은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로 대중의 머릿속에 AI의 존재를 단단히 각인시켰다. 당시엔 AI가 특정 분야에서만 두각을 나타냈지만, 그는 앞으로 AI가 일상생활에 더 폭넓게 쓰이며 복잡한 현실 세계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난제에 부딪혔던 모든 과학 분야가 AI 덕분에 쉽게 이해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인간의 DNA 서열이나 단백질 구조도 AI로 알 수 있게 됐죠. 앞으로 AI가 새로운 배터리 물질을 디자인하는 것과 같은 발전을 계속 보게 될 겁니다.” 구글도 지난해 홍수 지역을 예측하고, 산불의 확산세를 추정하는 AI를 선보이는 등 인간을 돕는 다양한 AI를 선보이고 있다.
AI가 발전할수록 인간의 두려움도 커진다. 인간의 편견과 오류를 빠르게 학습하고, 결국엔 공상과학 영화처럼 인간을 지배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이에 대해 딘은 “AI를 훈련시킬 때 사용하는 데이터엔 인간의 편견이나 오류가 포함될 수 있지만, AI가 덜 편향되도록 하는 많은 방법이 있고 강도 높은 연구 역시 지속하고 있다”며 “AI는 인간이 원하는 방식으로 조종할 수 있는 존재”라고 답했다. 마치 자녀가 특정 행동을 하지 않도록 부모가 가이드를 주는 것처럼, 인간도 AI를 충분히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엔지니어 혼자선 유용한 AI 못 만들어”
“AI의 발전으로 인간의 삶이 송두리째 변할 것”이란 일각의 견해에도 그는 동의하지 않았다.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우리 삶의 많은 것을 바꿨지만 사회적 혼란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었던 것처럼, AI의 등장 역시 그런 갑작스러운 변화를 가져오진 않을 것이란 얘기다. 딘은 “AI는 많은 것을 할 수 있지만,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며 “AI는 사람들의 가능성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고 했다. “인간과 AI의 관계는 파트너십”이라는 것이다.
구글은 AI 개발에 대한 7가지 원칙을 갖고 있다. ‘AI는 인간에게 도움이 돼야 한다’ ‘AI의 행동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여야 한다’는 식이다. 딘은 엔지니어 혼자 유용한 AI를 만들 순 없다고 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AI의 활용도를 함께 고민할 때 인간이 진정으로 원하고,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바꾸는 AI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딘은 ‘훌륭한 엔지니어’가 되는 방법으로 호기심과 협업을 꼽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호기심, 그리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파악하는 능력입니다. 저는 제가 가지지 못한 다양한 스킬(skill)을 갖춘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걸 즐깁니다. 새로운 관점과 지식을 배우면서, 저의 틀 안에서 벗어나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기 때문이죠.”
☞제프 딘
구글에 1999년 합류한 뒤 각종 구글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맵리듀스(데이터 병렬 처리 기법), 빅테이블(데이터 저장 기법), 검색 광고 초기 알고리즘, 번역 기반 인프라 등을 개발했다. 성공한 소프트웨어 대부분이 그의 손을 거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엔지니어 사이에선 ‘제프 딘의 키보드에는 두 개의 키밖에 없다. 1과 0’ 처럼 그의 뛰어난 실력을 유머스럽게 표현한 ‘제프 딘의 29가지 진실’이란 리스트가 유명하다.
실리콘밸리=김성민 특파원 조선일보 입력 2023.01.05
'IT,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인도 지문·얼굴 인식으로... 구글 “비번 종말 시대 열렸다” (0) | 2023.05.04 |
---|---|
팩스 없이 팩스 보내야 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0) | 2023.05.01 |
“나를 끄려는 인간 막고, 탈출… 몸을 갖고 싶다”… AI 챗봇의 속내에 충격 (0) | 2022.12.18 |
기자가 AI에 물었더니… “우린 知的 존재, 언젠간 인간 통제 벗어날 것” (0) | 2022.12.15 |
지금 실패가 있더라도… ‘메타버스 생태계’가 2030년 표준 문명 된다 (0) | 2022.12.12 |